본문 바로가기

실습

(7)
[NP] NP 이상행동 : 정동장애 실화 기반으로 예시 작성함아닌것도 있고..   2. 정동장애 1) 정동- 부적절한 행동 : 상황이나 내용에 어울리지 않는 정서적 반응을 보이는 것. 맥락에 완전히 어긋남.                           예) 장례식장에서 큰소리로 깔깔 웃는 A씨- 부적당한 행동 : 특정 상황에 맞지 않는 감정 반응. '부적절한 정동'보단 덜 극단적임.                           예) 친구가 좋은 소식을 전해주지만 아무런 표정변화 없이 무표정으로 "그렇구나"라고 말하는 B씨- 정동의 둔마 : 감정표현이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감정의 강도가 약화된 상태.                        예) 감동적인 영화를 보고도 무표정하고 감정반응을 보이지 않음- 정서적 위축 : 개인이 감정적으로 ..
[NP] NP 이상행동 : 사고장애 이번엔 NP로 실습을 가서 이상행동에 대해 공부를 좀 해보려고 한다이상행동은 크게 사고장애, 정동장애, 지각장애, 행동장애 및 언어장애로 구분할 수 있다먼저 사고장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실화 기반으로 작성함.아닌것도 있고  1.  사고장애 1) 사고형태 장애-  자폐적 사고 : 조현병 환자에게서 흔히 관찰 가능한 증상으로, 외부 현실을 무시하는 사고.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임.                           예) 28세상을 조심해야해. 28세상은 나쁜 아이들만 가는 세상이야. 나는 28세상에 가보았어.-  마술적 사고 : 자신의 생각이 어떤 사건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음.                            예) 내가 여동생이 죽어버렸으면 좋겠다고 해서 여동생이 지금 ..
학생 수준에서 간호사 인계하는 법과 예시 (ft. 울음 참기 lv 9335) 하아 .... 난 아직 학생이건만 ... 학교에서 인수인계를 실습 시험으로 넣어버렸다 ... 최근에 인수인계 시험을 봤는데 탈탈 털려서 .... 멘탈이 나갔지만.. 그래도 피드백을 스스로 좀 해봐야 할 것 같아서 적어본다 ... 다음은 내가 인계 시험을 봤던 상황이다 뭐 대충 이런상태. 인계 순서대로 써보겠다 인계할 때 첫 순서로 말해야 하는 것은 간호력이랑 ER때 처치 했던 것들 : (인수 받는 간호사가 이 환자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고 했을 때) 어떤 환자인지 처치는 뭘 받았었는지 언제 입원했는지 전부 인계 해야 한다 근데 난 ER에서 처치 받았던 것들을 하나도 말 안함 심지어 NPO인것도 말 안함 ........... .. ER에서 받은 처치까지 다 인계해야 되는지는 몰랐음 .. 완전 내가 시나리오..
IM 놓는 위치랑 주의사항 헷갈리지 말 것 IM 놓는 위치 헷갈리지 말자 .. 나중에 환자 신경마비 오게 할거야?? IM 놓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1. 둔부 복면 2. 둔부 배면 3. 외측광근 4. 대퇴직근 5. 삼각근 1. 둔부의 복면 (=옆엉덩이) 여기가 젤 근육이 두꺼움 = 고로 제일 안전함 신경 찌를 일 거의 없음 정확한 주사 부위 선정법은 환자를 prone으로 엎어놓은 상태로 엉덩이(오른쪽이라 가정)를 4등분함 4등분면 기준 우측상단 엉덩이 부위를 다시 4등분 했을때 우측상단에 주사하면 됨 환자 오른쪽 둔부 기준으로 골반뼈 (전상장골극) 만져지는 부위에다가 내 왼쪽 집게 손가락 올리고 4등분 열심히 해서 찾은 부위를 V자로 벌린다음에 주사하면 됨 걍 쉽게 생각하면 엉덩이 옆쪽 부위에다가 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2. 둔부의 배면 (=뒷엉..
[DR] 분만 관찰 후기 내가 분만했던 이야기는 아니지만 분만을 옆에서 실습 학생으로서 관찰한 경험을 감사하게도 해보았다 일주일 정도 된 이야기지만 그나마 생생할 때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처음에 분만실을 생각했을때 수술실처럼 완전히 폐쇄적이고 완전 무균 느낌인줄 알았는데 무균을 준수하는 것은 맞지만 완전 폐쇄적인 공간은 아니었다 커튼 단 하나로 외부와 분리되어 있었다 산모는 고통스러워하면서 침대에 lithotomy 자세로 있었고 산모 주변에는 의사 간호사들이 매우 많이 있었다 내가 산모였으면 상당히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같긴 하다 ...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심지어 분만과 직접적인 관련도 없는(나같은)사람이 본인의 분만을 ..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 무튼 내가 본 산모는 유도분만을 통해 자연분만하는 산모셨는데 AROM..
[DR] 상승, 조기 하강, 후기 하강, 가변성 하강, 지연된 하강 차이점 주가 벌써 지나고 신생아실에서 분만실로 실습 장소가 바뀌었다 prolonged decel 이라 애기 빨리 꺼내야했어요 ~ 라고 말씀하시는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하나도 알아듣지 못하고 프로롱드 디셀이 뭐지 ㄹㅇ 못알아먹었음 인계시간에 그냥 멍때리기만 했었는데 .... 쩝 DR 뿐만 아니라 NR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하니 유의깊게 잘 듣도록 해야겠다. 먼저 상승, 조기 하강, 후기 하강, 가변성 하강, 지연된 하강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된 검사는 CST 라는 검사이다. CST가 뭐냐면은 애기 심장이 잘 뛰고있는지 일부러 산모의 자궁쪽에 자극을 줘서 자궁이 수축하도록 만드는 거다. 물론 CST처럼 인위적인 자극을 주지 않아도 NST같이 자극 없이 그냥 태아관찰만 하는 검사에서도 상승, 조기하강 .. 등의 반응을 관..
[NR] caput succedaneum, molding, hematoma 차이점 흠 ~~ .. 실습하면서 공부를 드릅게 안해서 이제부터라도 좀 공부해서 정리해겠다 노트 같은거에다가 정리해도 내가 안볼것 같기 때문에 일기쓰다가 중간에 그나마 보라고 .. 블로그에다가 써야겠어연 내가 이번에 실습한 곳은 신생아실 선생님들이 갓 태어난 애기들 신체 사정하실때마다 애기 캐풋 있어요 ~ 애기 몰딩이랑 캐풋만 있어요 ~ 이런식으로 인계하신다 대충 무슨 말인지는 알고 있었는데 이 셋의 차이점이 너무 헷갈린다 그래서 정리 1. molding 병동에서 몰딩이라고 보통 말한다 뭐냐면 실선이 정상 머리 위치라면 몰딩은 점선으로 나와서 약간 머리가 찌그러진거다 자연분만 할때 보통 압력을 받고 나와서 자연분만에서 몰딩이 가장 흔하다 대부분 몰딩은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큰 걱정 ㄴㄴ 기형 아님 2. ca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