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 .. 실습하면서 공부를 드릅게 안해서
이제부터라도 좀 공부해서 정리해겠다
노트 같은거에다가 정리해도 내가 안볼것 같기 때문에
일기쓰다가 중간에 그나마 보라고 .. 블로그에다가 써야겠어연
내가 이번에 실습한 곳은 신생아실
선생님들이 갓 태어난 애기들 신체 사정하실때마다
애기 캐풋 있어요 ~
애기 몰딩이랑 캐풋만 있어요 ~
이런식으로 인계하신다
대충 무슨 말인지는 알고 있었는데 이 셋의 차이점이 너무 헷갈린다
그래서 정리
1. molding
병동에서 몰딩이라고 보통 말한다
뭐냐면

실선이 정상 머리 위치라면
몰딩은 점선으로 나와서 약간 머리가 찌그러진거다
자연분만 할때 보통 압력을 받고 나와서
자연분만에서 몰딩이 가장 흔하다
대부분 몰딩은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큰 걱정 ㄴㄴ
기형 아님
2. caput succedaneum
보통 선생님들은 줄여서 카풋, caput이라고 하신다
얘는 경계가 좀 넓고 부어있는 ? 느낌이라고 선생님께서 알려주셨다
살짝 머리를 집었을 때 가죽처럼 뭐가 잡히신다고 ...

caput이랑 molding은 전혀 다른것으로
caput이랑 molding이 한 아기에게 전부 나타날 수 있다.
실제로도 caput에 molding 있는 애기 많이 봤었음
얘도 며칠 있다가 사라진다 큰 걱정 ㄴㄴ
3. hematoma
hematoma 있는 애기는 아직까지 본적이 없다
얘는 caput이랑은 다르게 좀 국소적이다
범위가 좀 좁게 있음

이런식으로 혈관 밖에 혈액이 고여서 단단해지는거라고 한다
선생님께 hematoma 어떻게 구별해내시냐고 여쭤봤더니
만져봤을 때 탱탱볼처럼 뭔가 차있는 느낌이라고 말씀해주셨다
얘도 별다른 문제 없이 생후 며칠 뒤에 사라진다고 함
근데 찾아보니까 합병증 유발할수는 있다네 ~ .
신생아 머리 사정할 때 이렇게 세 가지 형태로 보통 양상이 나뉘는데
뭐가 되었든 간에 무조건 인계를 한다
그래서 옆에서 보면서
어떤 거를 어떻게 만지셔서 알아내는지 보는게 중요할듯

'실습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 NP 이상행동 : 정동장애 (0) | 2025.02.06 |
---|---|
[NP] NP 이상행동 : 사고장애 (0) | 2024.10.27 |
학생 수준에서 간호사 인계하는 법과 예시 (ft. 울음 참기 lv 9335) (0) | 2024.04.06 |
IM 놓는 위치랑 주의사항 헷갈리지 말 것 (0) | 2024.03.20 |
[DR] 상승, 조기 하강, 후기 하강, 가변성 하강, 지연된 하강 차이점 (0) | 2023.08.03 |